지역사회 음주조장환경 개선과 절주문화 확산을 통한 음주폐해 예방 및 감소
음주폐해 예방 및 감소를 통한 국민건강증진
지역사회 음주조장환경 개선과 절주문화 확산을 통한 음주폐해 예방 및 감소
음주폐해 예방 및 감소를 통한 국민건강증진
지역사회 음주조장환경 및 제도 개선
지역사회 음주폐해예방 교육, 홍보, 상담 프로그램 강화
사업영역 | 구분 | 내용 | |
---|---|---|---|
환경조성 | 지역사회 협력체계 구축 |
목적 |
지역사회 내 유관기관 및 단체와 협력하여 음주폐해를 예방 |
사업대상 |
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, 정신건강복지센터 등 초·중·고등학교, 대학교, 사업장, 경찰서, 사회복지센터, 언론사 등 지역주민 및 단체(상인회, 반상회 등) 등 |
||
내용 |
지역사회 내 전문가 자원 및 유관기관·단체와 정기적인 협력체계 구축 음주사고가 증가하는 시기에 캠페인 및 교육활동 강화 등 |
||
음주조장 환경 모니터링 및 개선 | 목적 |
지역사회 내 위법 혹은 과도한 주류광고·판촉·후원 등을 모니터링·개선 지역사회 내 잘못 표기된 과음 경구문구 등을 모니터링·개선 |
|
사업대상 |
지역 대학 및 축제의 주류광고·판촉·후원 등 교육환경정화구역 및 청소년 이용시설 인근 주류광고·판촉·후원 등 주점 밀집지역의 주류광고·판촉·후원 등 그 밖에 주류 판매점 등 |
||
내용 |
지역사회 주류광고 및 과음 경고문구 표기 실태점검 및 문제진단 위법 혹은 과도한 주류광고와 위법한 과음경고문구 표기 개선요구 등 |
||
교육 및 홍보 | 지역사회 절주환경 조성 | 목적 |
지역주민과 함께 제도를 개선하고 절주환경을 조성 |
사업대상 |
유아·아동·청소년 이용시설 지역주민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 음주폐해가 다수 발생하는 지역 |
||
내용 |
음주청정구역 지정 및 관리 청소년 보호 판매점(편의점) 확산 : 미성년자 주류판매 금지, 주류진열 분리, 주류광고 노출제한 등 주류로부터 청소년 보호 활동을 실시하는 판매점 지정·확산 주류판매점(식당, 주점 등) 절주캠페인 확산 : 1인 주류 구매량 제한, 주류 판매 요일 및 시간제한, 절주가이드라인 확산 등 과도한 음주를 제한하고 건전한 상가문화 조성을 실시하는 판매점 지정·확산 그 밖에 지역사회 절주환경 조성사업 등 |
||
교육 및 홍보 | 목적 |
지역주민에게 음주의 위험성에 대한 규범과 인식 변화를 유도 지역사회 음주폐해예방 활동의 지지기반 구축 지역주민의 절주(또는 금주) 실천을 유도하여 음주폐해를 예방하고 건강증진 도모 |
|
사업대상 |
금주교육 : 청소년, 임산부 절주교육 : 대학생, 직장인, 노인 등 성인 음주조장환경 개선교육 : 판매인, 학부모 등 |
||
내용 |
청소년, 임산부, 성인, 저소득층 등 지역주민 음주폐해예방교육 교육대상별 음주폐해예방교육 교재·홍보 동영상을 활용하고, 절주전문 강사와 연계한 교육 실시 연중 홍보·캠페인, 음주폐해예방의 달(11월) 캠페인 운영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등 지역사회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캠페인 실시 |
||
단기개입 및 연계 | 목적 |
지역주민에게 음주의 위험성에 대한 규범과 인식 변화를 유도 지역주민의 절주(또는 금주) 실천을 유도하여 음주폐해를 예방하고 건강증진 도모 지역주민의 문제음주자, 알코올의존을 조기선별하여 전문기관으로 연계 |
|
사업대상 |
보건소 내소자 건강생활실천 교육, 홍보·캠페인, 상담 시 만나는 지역주민 |
||
내용 |
건강증진 및 질환관리를 위한 절주(또는 금주)의 필요성 상담(단기개입) 알코올사용장애선별검사(AUDIT-K) 실시를 통한 문제음주, 알코올의존 조기선별, 전문기관(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, 정신건강복지센터, 의료기관 등) 의뢰 |
번호 | 제목 | 파일 | 작성자 | 등록일 | 조회수 |
---|